임실과 고추의 천생연분 임실홍실
최적의 재배지역인 청정지역임실에서 자란 임실홍실 고추
  • 임실과 고추의 천생연분 임실홍실

  • 우리 정서에 맞는 친근하면서 안정감 있는 서체를 이용한 브랜드네임을
    그대로 적용한 워드마크 형태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하고자 하였습니다.

    'ㅇ'받침을 사랑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하트와 고추형태를 결합하고
    천생연분이라는 현대적인 아이콘을 접목시켜 임실이 고추가 잘 자라는
    최적의 재배조건을 가지고 있다는것을 의미 합니다.


자원의 집적도

1
생산 기반 현황

  • 양념산업육성을 위한 주요 재배작물은 고추, 양파, 생강, 부추, 마늘 등으로 임실고추생산자연합회의 고추재배면적이 가능 많으며, 대부분 공동조직이
    형성되어 농산물의 생산, 유통을 하고 있음
  • 품명 조직명 재배농가 (명) 재배면적 (ha) 연간생산량 (톤) 연간생산액 (백만원)
    합 계 1,489 526.3 12,703.4 21,292
    고추 임실고추생산자(연) 1,280 431 6,462 17,215
    양파 양파공동선별회 152 69 4,184 1,433
    생강 - 26 2.4 32.4 129.6
    부추 임실너랑나랑(영) 16 9.9 1,188 1,009.8
    임실농촌사랑(영) 15 5.9 708 601.8
    마늘 - - 8.1 129 903


2
임실 지역농업의 핵심가치 - 고추

  • 고추 재배농가는 전체 농가의 87%를 차지할 만큼 지역농업의 비중이 높으며, 주 농업소득원으로 지역경제를 선도하고 있음
  • 최근 쌀 생산이 과잉화되어 타 작목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임실군 농업 생산여건에서 논벼 대체작목으로 주목됨
    (논벼에 비해 4배의 소득률)
  • 특히 고추 브랜드 육성사업을 통해 고품질 생산과 계약재배-계통출하의 산지 유통 조직화 단계까지 확대되고 있음
    - 고추 재배농가의 20.7%가 고추 브랜드 사업의 실질적 생산자 조직인 임실고추 생산자 연합회에 참여, 출하하고 있음


3
임실고추의 우수성과 차별성

  • 임실군은 고품질 고추의 재배 최적지
    - 해발 해발 250~300m 내외의 중산간 지대로 주야간 일교차가 보통 25℃ 정도로 열매 맺음이 좋은 기후조건을 갖춤
    - 타 지역보다 일조 시간이 188시간 길며, 숙기의 온도가 2.3℃정도 높은 곳에서 생산되어 고품질 고추 생산에 유리
  •  
  • 임실고추는 인체에 가장 알맞은 매운맛
    - 임실 고추의 캡사이신 함량은 3.27mg으로 타 지역의 고추의 2.2mg보다 월등히 높음
    - 인체에 알맞는 매운맛의 기준은 0.95mg으로 타 지역의 고추가 0.54mg인데 비하여 임실 고추는 0.94mg으로 기준치에 가장 가까움
  •  
  •  

  • 임실고추는 고품질 고춧가루 생산에 유리(한국식품연구원 연구결과, 2004년)
    - 수율 : 과피 수율이 60~70%로 타 지역 고추보다 높게 나타남
    - 색상 : ASTA값이 타 지역 평균 80~120보다 높은 175로 색상이 뛰어남
    - 영양 : 단백질, 탄수화물, 회분, 비타민, 지방,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고루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
    - 맛 : 신미성분이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, 당도에 있어서도 25~26mg/100g으로 높은 편임



  • 재배적지의
    자연환경

  • 다양한
    영양소 함유

  • 과피수율
    60~70%

  • ASTA(색상)값
    175

  • 신미성분고른분포,
    당도 25~26mg


4
임실농업의 시너지 효과 - 양념채소류

  • 양념채소는 우리 고유 음식인 한식의 맛과 품질을 결정하지만 '있는 듯 없는 듯, 보이는 듯 보이지 않는 듯' 음식의 맛을 주도
  • 최근 농촌진흥청의 연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김치의 부재료인 양념채소들이 발효되면서 항암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남
  • 이러한 양념채소의 효과와 이를 통한 소비자의 건강한 식품소비 경향은 양념채소의 지속적이 소비확대로 이어질 전망
  •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념채소는 생산성 향상과 시장개방 확대로 양념채소의 공급여력이 확대되어 시장가격 하락에 따른 생산자 피해가 정례화되고
    있음 → 이에 지역농업 차원에서 안정적인 산지 유통체계를 갖추고, 소비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됨
  • 김치 속 양념채소 항암효과 증진

    김치의 주요 발효균인 Leu.mesenteroides를 이용해 마늘, 생강, 고춧가루, 쪽파를 김치의 적숙발효 상태(ph 4.2 내외)로 발효시킨 결과 마늘은 발효 후 51%(발효전 47%), 생강은 38%(발효전 29%), 쪽파는 48%(발효전 38%), 고춧가루는 56%(발효전 46%)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율을 보였다.


    김치속 양념채소의 항암효과 분석

  •  
  • 임실군은 밭작물에서 고추, 생강, 양파, 마늘, 파, 당근, 들깨, 참깨 등 양념식품 재료 채소류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기존의 고추와 함께 양념식품으로
    확장한다면 지역농업 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


5
가공/유통 기반 현황

  • 양념산업과 연계가 가능한 가공시설로는 절임배추가공공장과 임실고추가공센터를 보유
  • 임실고추가공센터를 운영하는 전북동부권고추(주)는 고추 계약재배 후 수매하여, 원물, 가공을 통해 공동브랜드를 통해 유통의 역할까지 담당
  • 구 분 조직명 참여농가(명) 시설면적(㎡) 년간생산량(톤)
    절임배추 가공공장 지사절임배추작목반 6 198 24
    상동영농조합법인 7 231 40
    고추가공센터 농업회사법인
    전북동부권고추(주)
    1,602 6,879 홍고추 6,000
    고춧가루 1,000
    ※ 고추가공센터 시설별 현황 : 공장 및 창고 5,003㎡, 가스저장소 12.54㎡, 폐수처리관리실 73.87㎡, 저온 저장고 750㎡, 사무실 및 견학로 937㎡, 폐수처리시설 937㎡
  •  
  • 임실고추가공센터가 임실고추산업의 허브로, 가공, 유통을 담당하고 있으나, 고추 및 고추 가공품의 판매에 한계가 있어 홍보마케팅 강화를 통해
    임실고추산업뿐만 아니라 양념산업까지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음

산업의 가능성

1
양념장유형

  • 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는 양념장의 유형은 고기 양념장, 찌개 양념장, 조림 양념장, 볶음 양념장으로 나누고 있음
  • 이외 찍어먹는 양념장, 무침 양념장, 김치 양념장, 장아찌, 드레싱 등도 있지만, 주로 가정이나 외식 및 급식업체에서 직접 만들어서 먹는 비중이 높기
    때문에 시장에 제품화되어 출시되는 경우는 적음


2
양념장(한식 양념장과 서양식 소스포함) 생산 추이 및 수출입 현황

  • 생산량은 2007년 약23만톤에서 2009년 33만톤, 2011년 35만톤까지 증가하였으며, 출하량도 2007년 약21만톤에서 2009년 39만톤으로
    급속히 증가한 이후 2011년 32만톤 규모를 유지하고 있음
  • 출하량의 등락에 상관없이 출하액은 계속 증가하여 2011년에는 약 8,096억원이었으며, 2007년 대비 약 65% 상승
  •  
  • <양념장의 생산 추이>
  •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
    생산량(톤) 225,698 241,671 327,967 284,777 350,019
    생산액(억) 4,516 5,250 5,672 5,796 7,442
    생산단가(천원/톤) 2,000 2,173 1,729 2,035 2,126
    출하량(톤) 208,003 230,010 393,487 248,361 320,552
    출하액(억) 4,905 5,857 6,170 6,553 8,095
    출하단가(천원/톤) 2,358 2,547 1,568 2,639 2,526
    ※ 출처 :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, 식품의약품안전처
  •  
  • 양념류는2012년 기준으로 수출물량(약1만1천톤)에 비해 수입물량(약6만7천톤)이 약 6배 정도 많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수입액이 수출액보다
    약 3배 정도 많음


2
양념장의 유통현황

  • 2012년 기준으로 양념장의 전체 판매액은 944억원으로 추정되며, 이 중 소매유통채널의 시장 규모가 711억원으로 전체 판매액의 약 75%를
    차지하고 있음
  •  
  • <양념장의 전체 판매액 추정>(단위 : 백만원)
  • 구 분 소매유통채널 정육점 채널 B2B 채널 전체시장규모
    합 계 71,112 14,410 8,920 94,443
    고기양념장 45,287 - 8,920 68,617
    찌개양념장 22,087 - - 22,087
    기타 양념장 3,739 14,410 - 3,739


3
소비자 특성 및 트랜드

  • 양념장을 구입할 때, 소비자들이 고려하는 첫 번째 속성은 맛(37%)이었으며, 그 다음으로는 구성 원재료(22.4%), 재료 원산지(12.5%) 등 순임
  •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양념장 재료의 고급화와 무첨가 열풍이 확산되고 있고, 소불고기 양념, 소갈비 양념, 돼지불고기양념, 돼지갈비
    양념 등 기존 기본형 제품의 틀에서 벗어나 제품 카테고리 다양화
  • 1인 가구를 타겟으로 하여, 크기는 줄이되 성능은 유지한 소형제품 및 소용량 시장 확대가 부상하고 있으며, 파우치 포장의 제품과 물 붓는 선을 직접
    용기에 표시하는 등 1인 가구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배여가 증대됨
  • 구 분 특 징
    생산주체 국내 가공식품 대기업 및 중소기업
    상품형태 주상품 : 고기양념장, 찌개양념장, 볶음양념장
    - 기본 제품의 틀에서 벗어나 제품 카테고리 다양화
    판매특성 소매유통채널(75%) : 체인슈퍼, 할인점, 독립슈퍼 순
    소비특성 양념장 재료의 고급화 및 무첨가 열풍 확산
    1인 가구, 캠핑족 등 소형제품, 소용량 시장 확대

4
국내 최고 품질의 임실고추

  • 2014년도 대한민국 으뜸농산물품평회에서 임실고추 '대상' 수상
  • 임실고추는 지난 10년동안 대한민국 으뜸농산물품평회에서 대상을 수상하여 임실고추가 맛과 향과, 빛깔, 품질면에서 대한민국 최고의 고추로 평가
  • 양념식품의 주 원료인 고추 - 최고 품질의 고추로 만든 양념식품은 산업화 가능성이 높음